총신대 새 법인이사회가 신임 이사장에 김동욱 서울대 행정대학원교수를 선임했습니다.
수년을 끌어온 총신대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습니다.
예장합동 총회가 발간한 총신대 백서는 길자연 목사가 총장에 취임한 2013년 12월부터를 사태의 시작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백서에 따르면 총신대사태는 5년간의 긴 터널을 지나 이제 터널을 빠져 나오려 하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총회백서는 "이제 어둡고 긴 터널을 빠져나와 정상화 궤도로 진입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합동총회가 정상궤도라고 자평할 만큼의 떳떳함이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총신대 정관 제1조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의 지도하에 인류사회와 국가, 교회 지도자를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돼있습니다.
총신대를 설립한 합동총회가 총신대 사태 수습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합동총회는 총신대 사태를 스스로 수습하지 못하고 외부의 힘을 빌려 정상화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다행이지만 내면의 부끄러움이 있을수 밖에 없습니다.
김영우 총장을 비롯한 옛 재단이사들은 굥육부가 내린 '임원 취임승인 취소'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소송을 내며 끝까지 저항했으나 기각당했습니다.
총신대 사태의 수습의 실마리는 교육부와 사법부가 제공헸습니다.
교단내의 복잡한 역학관계와 법적인 한계 등의 복합적인 문제 때문에 총회의 개입이나 조정이 어려웠다고 변명할수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총회의 역할은 너무 미미했습니다.
총신대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면 총회가 시시콜콜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학문은 학문대로 목회는 목회대로의 영역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금은 비상상황 입니다.
학생들의 집회와 교육부 감사 등 안팎의 수습요구에 대해 이사회는 꿈쩍도 하지 않아 스스로 해결할수 있는 능력과 의지가 없음도 보여줬습니다.
총신대 임시이사회가 구성을 마무리함에 따라 학사관리 등의 정상와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
총신대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대학입니다.
때문에 대학운영을 마냥 외부 이사들들에게 맡겨둘수 만은 없는 일입니.
총신대의 정상화는 학사 정상화 뿐만이 아니라 성경과 개혁신학에 기초해 교회지도자를 양성할수 있는 조건이 충족될때 비로서 완성될 것입니다.
총신대 정관이 제시한 이런 조건을 마련하기 위해 합동총회와 총회 지도자들의 사심없는 노력을 기대합니다.
[영상편집 서원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