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13일 열린 총신대 법인이사회. 총신대 법인이사회가 개방이사 선출에 난항을 겪고 있다. 총신대 법인이사회는 지난 달 27일 개방이사 추가 선출을 위한 이사회를 열었으나, 개방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기존 후보를 철회하면서 선출 자체가 무산됐다.
앞서 지난 달 13일, 총신대 이사회는 15명의 이사 전원을 새로 선출하는 과정에서 개방이사후보 8명 중 4명을 선출할 예정이었지만, 이사 8명 이상의 찬성을 득표한 후보는 단 1명에 불과했다.
총신대 법인이사회는 오는 10일 다시 모여 개방이사를 선출할 계획이다. 개방이사후보추천위는 이때까지 새로운 개방이사 후보를 이사회에 추천해야 한다.
총신대 안팎에서는 차기 이사회가 학교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면서 비정치적인 이사들로 구성되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학내 구성원과 동문회 등으로 구성된 총신대 대학평의원회는 앞서 지난 달 11일자로 입장문을 내고 "총신대가 교단 정치력의 확장이나 이권다툼의 장이 되어선 안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대학평의원회 의장인 김관선 목사는 "현 이사회가 학내 사태 이후 지난 4년간 위기를 잘 넘겨왔다면, 지금은 학교가 발전해야 하는 시길"라면서, "새로 선출되는 이사들은 이사 직함을 내세워 정치적인 노림수를 꾀하지 않고, 순수하게 학교를 도울 마음이 있는 인사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품과 덕망이 높은 이사들이 세워져 학교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제고하고, 다른 교회들의 기부와 후원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 이사이자, 개방이사후보추천위원인 강재식 목사는 "아직 학교가 교육부의 개입에서 온전히 정상화된 건 아니"라고 말했다.
강 목사는 "지금 이사회에는 교육부가 선임한 이사들이 일부 포함돼 있어, 학교가 독립적으로 이사회를 구성하지 못한 과도기적 상태"라면서 "이번에 이사교체를 제대로 해야 학교 정상화의 원년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목회자는 "합동총회 안에는 목회도 잘 하면서 학교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목사님들이 많다. 학교는 물론, 교단 소속 목회자들도 모두가 인정할 만한 사람을 후보로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오는 10일 총신대 이사회가 개방이사 3명을 추가로 선출하지 못할 경우, 관련법에 따라 교육부가 개방이사를 선임할 수도 있다. 개방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기존 후보를 모두 철회한 만큼, 어떤 후보를 다시 추천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예장합동총회 임원회, 총신대 운영이사회 복원하나?
이런 가운데 예장합동총회 임원회가 최근 총신대 운영이사회를 복원하기로 결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봄노회를 앞두고 있는 전국 160개 노회에 운영이사회에 파송할 이사를 선출해 보고하라는 공문이 전달됐다.
총신대는 과거 법인이사회 외에 각 노회 당 1명으로 구성되는 운영이사회를 두고 있었다. 지난 2018년 학교사유화 논란 등 학내 사태 이후 폐지됐지만 매년 교단 정기총회 때마다 운영이사회를 복원해달라는 헌의안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지난 9월 열린 제109회 정기총회에도 해당 헌의가 올라와 총회 임원회에 맡겨 처리하기로 했는데, 법인이사회의 개방이사 선출이 실패한 직후에 운영이사회 복원 카드가 날아온 것은 공교롭다.
운영이사회는 법적으로 학교 경영에 어떠한 법적 권한도 없지만, 총장 선출을 비롯해 학내 사안들에 대한 의견을 법인이사회에 전달하는 등 법인이사회와 교단이 함께 학교를 운영한다는 교단의 의견을 학교에 반영하는 수단으로 이용돼왔다.
그러나 100명이 넘는 운영이사회는 총장 선출을 비롯해 각종 학내 사안에 개입하면서 정치적으로 좌우되는 등 부정적 폐해를 양산해왔다.
예장합동총회의 한 중진 목회자는 "운영이사회는 제대로 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시대에 역행하는 제도"라면서 "법인이사회를 견제하기 위해 총회가 칼을 빼든 셈"이라고 해석했다.